简体版 繁體版
로그인 회원가입

삼복에 비가 오면 보은 처자가 울겠다

발음:

뜻풀이mobile phone모바일

  • 대추의 명산지인 보은 지방에서 대추의 수확으로 혼수를 마련하는 데서 나온 말로, 삼복에 비가 오면 대추가 열리지 아니한다는 말.

  • 처서에 비가 오면 독의 곡식도 준다     처서 날에 비가 오면 앞으로 뜻하지 않은 재앙이 들어서 흉년이 든다는 말.
  • 삼복    I 삼복1 【三伏】[명사]1 초복과 중복과 말복. = 삼경3 (三庚).2 여름철의 몹시 더운 기간.I I 삼복2 【三復】[명사]세 번 되풀이함.[파생동사] 삼복-하다I I I 삼복3 【三覆】[명사]조선 때, 죽을 죄는 세 번 심리하게 한 일. [참고] 삼심제도.
  • 보은    I 보은1 【報恩】 [보:-][명사]은혜를 갚음. = 수은.⇔ 배은(背恩).[파생동사] 보은-하다I I 보은2 【寶銀】 [보:-][명사]= 말굽은(-銀).
  • 처자    I 처자1 【妻子】[명사]아내와 자식. = 계집자식(-子息)1. 처자식.I I 처자2 【處子】 [처:-][명사]= 처녀(處女)1.
  • 비가    I 비가1 【比價】 [비:까][명사]다른 물건과 비교한 값.I I 비가2 【悲歌】[명사]1 슬픈 노래.2 슬픈 감정으로 엮은 시가.⇒ 애가(哀歌).
  • 오면체    오면-체【五面體】 [오:-][명사]《수학》 다섯 평면으로 둘러싸인 입체. = 네모뿔.
  • 자오면    자오-면【子午面】[명사]《천문학》 자오선을 포함하는 평면.
  • 자가    자가【自家】[명사]1 자기 집.2 자체 또는 자신. = 자기7 (自己).
  • 삼복제    삼복-제【三覆制】 [-쩨][명사]사형수 판결에서 세 번 심리하게 하던 제도. 고려 때부터 시행되었다.
  • 삼복중    삼복-중【三伏中】 [-쭝][명사]삼복 동안.
  • 보처자    보-처자【保妻子】 [보:-][명사]처자를 보전, 부양함.[파생동사] 보처자-하다
  • 위처자    위-처자【爲妻子】 [위:-][명사]처자를 위함.[파생동사] 위처자-하다
  • 탁처자    탁-처자【託妻子】[명사]아내와 자식을 남에게 부탁함.[파생동사] 탁처자-하다
  • 행복에 넘친    축복을 주는
  • 오면가면    오면-가면[부사]오면서 가면서.